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하는 방법 (공식 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반도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정을 정리하고 집대성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인용할 때의 표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신뢰를 받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 최초로 한국 문화를 집대성한 대백과사전입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80년 이후 한국학 장기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로 탄생하였습니다. 한국학 각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집필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지식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분들께서 연구나 과제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활용하시는데요, 연구자라면 꼭 지켜야 하는 참고문헌 기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측에서 공식적으로 배포한 인용 표기 양식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출처 표기 방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측에서 공식적으로 홈페이지에 배포한 인용 표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항목 컨텐츠

[표기 방식]

「항목명(표제어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항목URL),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준 일자.

[예시]

「3·1운동 (三一運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772),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5월 30일 기준.

 

2) 미디어 컨텐츠

[표기 방식]

〈사진자료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항목URL),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준 일자.

[예시]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3639),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5월 30일 기준.

 

3. 결론

지금까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인용할 때의 출처 표기 방식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올바른 출처 표기 방식을 활용하여 연구자 윤리 원칙을 지키고 좋은 결과물을 창출해내시길 바라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